본문 바로가기

docker

[Flutter] 채팅앱 만들기 #1 What to do? UserService를 만들고, Test 코드 작성하기 Reference 아래 영상을 따라서 만들어보았다. 개발환경 세팅하기 지난번 포스팅으로 대체한다. [Flutter] 개발환경 세팅하기 Install Flutter flutter 홈페이지에서 flutter 다운로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의 압축을 풀기 압축을 풀면 bin파일이 있는데, 이후 해당 파일 경로를 환경변수에 등록해야 함 시스템 환경변수 편집에 들어 sddkarma.tistory.com pubspec.yaml pubspec.yaml파일에서 아래 코드를 수정 null-safety 관련해서 문법 오류가 발생해서 sdk 버전을 수정 rethinkdb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dependencies 코드 수정 environment.. 더보기
[Spring] 길찾기 서비스 #3 What to do? 프로젝트 환경설정 Docker를 활용해 다중 컨테이너 환경을 구성해보자. application.yaml 파일 만들기 프로젝트 관련된 세팅은 application.yaml에서 해주면 된다. 원래는 application.properties라는 파일이 있는데, 확장자를 yaml로 변경해주자 파일명 변경시에는 Shift + F6버튼을 누르면 된다. Profile 작성하기 dev(개발환경), prod(배포환경)이라는 두개의 개발환경을 만들고,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내용은 common에서 정의해주기로 하자. spring: profiles: active: dev # default 환경 group: dev: - common prod: - common --- # dev, prod 환경에서 공통적인 내.. 더보기
[Spring] 길찾기 서비스 #2 What to do? Docker 컨테이너 실습하기 docker 컨테이너 환경세팅 하기 전에, docker 사용법을 간단히 정리하였다. Intellj에서 프로젝트 Build하기 Docker 컨테이너에서는 build를 한 jar파일을 실행시킬 것이다. 그래서 일단 Intellj에서 build 관련된 명령어 사용법들을 알아보자. Build하기 ./gradlew build 명령어를 실행하면 build/libs 폴더에 jar파일이 두개가 생성된다. -plain.jar는 의존성을 포함하지 않은 jar파일이고, 다른 파일은 모든 의존성을 포함한 jar파일이다. 빌드파일 삭제 ./gradlew clean 명령어를 실행하면 build 폴더가 삭제된다. Jar파일명 바꾸기 위에서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build파일명은 .. 더보기